본문 바로가기

개발 공부35

[flutter] flutter_piscene sub00 ex00 지금은 typescript로 react를 조금 만졌지만 내가 원래 하고 싶었던 것은 app 개발! 내가 원하는 아이템을 빠르게 구현해내고 시장반응을 빠르게 본 후 별로다 싶으면 버릴 수 있는 app 개발능력을 원했다. 따라서 현재 42seoul(에꼴42의 교육과정을 밴치마킹한 한국의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과정을 대부분 통과하여 여유로운 지금 flutter를 공부하여 정리하려고 한다. 42seoul에서 교육생들이 flutter piscene(프랑스어로 수영장을 뜻하며 짧은기간동안 혼자서 헤엄쳐 나올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교육 프로그램의 flutter 버전)을 만들어 뒀다는 사실을 알고 그 교육과정을 진행하게 되었다. 빠르고 확실하게 piscene을 끝내고 내가 원하는 아이템을 만들어 보자!! flutte.. 2022. 1. 30.
JWT(JSON Web Token)를 공부해보자 개요 로그인을 구현하기 위해 항상 거론되는 JWT를 공부해보자. 가장 좋은 공부는 공식 홈페이지를 보는 것이다. https://jwt.io/introduction 공식 홈페이지 WEB Session 방식 session을 사용하여 로그인을 구현하는 방식 1. Session에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고 그 정보를 이용한다. 2. 로그인을 하면 Session Id가 생성되어 Front End에 쿠키로 전달되고, 그 난수가 Session에 저장된다. 3. 이후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있을 때마다 withCredentials 설정을 통해 함께 전달된 쿠키를 Session에 저장된 정보와 확인한다. 4. 이후 확인이 완료되면 DB에서 해당 유저 정보를 가져와 Request의 user에 값을 넣어준다. JWT(JASON W.. 2021. 12. 20.
쿠키, 세션 개요 로그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자료조사를 하던 중 쿠키와 세션에 대한 언급이 자주 나와 따로 정리를 한다. HTTP 특성 - connectionless : http는 요청을 한 후 응답받으면 연결이 끊긴다.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request를 보내면 서버는 response를 하고 연결이 끊어진다. - stateless : http는 연결이 끊겼을 때 상태를 저장하지 않는다. 즉 http 연결이 끊겼을 때에 이전에 가지고 있던 유저 정보나 로그인 상태 등 모든 상태는 날아간다. 여기서 쿠키와 세션을 이용하지 않는다면 쇼핑을 할 때에 새로운 페이지로 갈 때마다 로그인을 해줘야 한다. 위와 같은 특성 때문에 로그인을 구현하기 위해서 쿠키와 세션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고 판단했다. 쿠키(Cookie) 쿠키란?.. 2021. 12. 20.
typescript를 사용할 때 react에서 useRef를 사용하는 법. 문제 velopert의 튜토리얼을 진행하던 중 문제에 봉착했다. 이 튜토리얼에서는 useRef를 사용하여 input DOM을 선택하여 어떤 버튼을 눌렀을 때에 input에 focus가 되도록 하는 법을 가르쳐 준다. 이 코드의 일부를 가져와보겠다. const nameInput = useRef(); const onChange = (event) => { const { name, value } = event.target; //... }; // ... // ... typescript를 사용할 때에는 처음 nameInput을 선언시 type을 지정해줘야한다. input의 ref로 들어가는 변수의 type, onChange 에 들어갈 인자의 type을 알기 힘들다는 문제에 부딧혔다. 해결 userRef()를 넣어서.. 2021. 10. 1.